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8

스케치업 화각 설정하기 스케치업 상에서 Scene 을 찍을 때, 넓게 찍혔으면 좋겠는데 좁게 보여 답답하게 보일때가 있습니다.이럴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Field of View 에서 그 값을 조정해주면 됩니다.(FOV 는 '시야' 라는 말로 통상적으로 자주 쓰이는 용어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시야 각에 따라서 보이는 화면의 넓이가 달라집니다.28° 보다는 75° 의시야가 더 넓게 보입니다. 그리고 몇 도 인지는 카메라의 렌즈와 관련이 있습니다.75° 각도는 28mm 렌즈와, 28° 는 85mm 렌즈와 같습니다. 각도와 렌즈는 반비례의 관계를 가지게 되네요.   이제 스케치업으로 넘어가 봅시다. 1. 화각 설정을 위해 Camera 탭의 Field of VIEW 항목을 클릭합니다.    2. 35.00 deg. 라고 적혀 있는.. 2021. 4. 10.
[오토캐드] 배치탭의 엠뷰 스케일을 설정하는 2가지 방법 배치탭에서 엠뷰의 스케일을 작업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으며 활용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1. 모형탭의 도면을 배치탭에서 축소해서 스케일 잡는 방법 (용량이 작음) 2. 모형탭과 배치탭의 도면크기를 동일하게 스케일 잡는 방법 (용량이 큼) 배치탭에서 작게 스케일 잡기 배치탭에서 그려진 도곽의 사이즈를 보면 420*297 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스케일이 1/60이든 1/70 이든 도곽의 크기는 420*297 입니다. 이 도곽안에서 스케일을 조정하는 것입니다. 그려진 도면은 1/30 스케일안에 들어오므로 1/30 스케일로 작성이 되어졌습니다. 출력할 때 플롯의 축적은 1:1 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meankey.tistory.com/79 엠뷰 스케일 작업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참고로 올립니다. [오토캐드].. 2021. 4. 4.
[CAD] 캐드 객체를 가려주는 기능_Wipe Out (+테두리 안보이게 하기) 캐드 작업을 하다보면 객체 뒤에 있는 배경을 가리거나 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WipeOut 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1. 폴리선을 WipeOut 로 변환시키는 방법 (원 및 곡선은 변환이 안됨)                              2. 영역을 클릭해서 WipeOut 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1. 가구객체 뒤에 있는 해치가 안보였으면 좋겠습니다. 가구에 WipeOut 을 적용해서 해치를 가려보겠습니다.    2. Wipe Out 입력 후 Enter    3. 폴리선을 WipeOut 으로 만들어보겠습니다. P (폴리선) 입력 후 Enter     4. 폴리선을 지우겠냐고 물어봅.. 2021. 4. 3.
[오토캐드] Boundary 로 경계 작성하기_야근줄여주는 기능 캐드 작업을 하다보면 어떤 부분을 폴리선으로 따야할 때, 일일이 점을 클릭해서 따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그러나 이 Boundary 기능을 잘 사용한다면, 해야될 일의 시간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Boundary 기능은 서로 다른 레이어 및 객체여도 닫혀있는 영역에서 폴리라인을 만들어줍니다. 1. 노란색 부분의 영역을 폴리라인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2. BO 입력 (Boundary) 후 Enter 칩니다. 3. 경계작성 창이 뜹니다. 점 선택을 클릭합니다. 4. 화면 창으로 돌아오면, 폴리라인을 작성할 내부 중 한곳을 클릭후 Enter 칩니다. 5. 경계가 쉽게 작성되었습니다. 2021. 4. 3.
[오토캐드] 구름마크(Rev_cloud) 그리기 도면작성을 할 때, 수정된 부분이 있을 때 표시해서 타업체에 보내야합니다. 이럴때 보통 구름마크로 표시해서 보냅니다. Revcloud 를 그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그리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바로 Revcloud 를 그리는 방법, 두번째는 객체를 Revcloud 로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REVCLOUD 그리기 1. REVC 입력 후 Enter 2. 호길이 부분과 스타일을 수정한 후 구름마크를 그릴 것입니다. A 입력 후 Enter 친 후, 호 길이를 입력한 후 Enter S 입력 후 C (캘리그래피) 스타일 입력 후 Enter 칩니다. 3. 보통 직사각형으로 설정되어져 있어서 그리면 됩니다. 4. 완성 객체를 REVCLOUD 로 변경하기 1. REVC 입력 후 Enter 2. 앞서.. 2021. 3. 27.
[캐드] 속성정의 만들기_블록에 속성을 부여하기 블록처럼 하나로 묶여 있으며, 개별로 쉽게 수정 또한 가능한 속성정의에 대해 알아봅시다.도곽이나, 공간을 설명하는 블록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1. ATTDEF 입력 후 Enter    2. 속성정의 창이 뜹니다. 저는 태그와 기본값만 입력합니다.   태그는 입력하려는 값의 큰 '분류' 혹은 '주제'입니다. 기본값은 태그의 값에 대한 부분입니다.    3. 태그와 값을 입력해준 뒤 자리 맞춤에서 '중간 중심' 을 선택해줍니다.    4. 속성값이 생성되었습니다. 중심에 위치시킨 후, 다른칸에도 속성을 만들 것이므로 복사하여 붙여넣습니다.    5. 복사한 속성의 정의에서 태그와 기본값을  수정해줄것입니다. 두번째 것에는 면적을 적을 것이므로, 아래와 같     이 입력합니다. 속성정의를.. 2021. 3. 27.
3주 만에 컬러리스트 기사 필기 합격 후기 (+공부방법) 1. 공부한 기간 3주 동안 회사 다니면서 자격증 준비를 했습니다. 출퇴근 시간, 주말 활용해서 공부했습니다. (야근이 많이 없어서 다행) 전공이 인테리어 쪽이었지만 시험과 관련된 내용들을 수강했던 기억들이 어렴풋이 나서 데이터 베이스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디자인 관련 전공을 한 분들 가운데 하루에 공부할 시간을 많이 갖고 계신 분들은 2주만에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2. 공부방법 거의 2주 동안은 이론 공부하고, 나머지 1주일은 문제 풀었습니다. 공부과정은- 첫번째로, 이해 안가도 책 먼저 한번 쓱 읽었습니다. 두번째로, 예담사 책을 사면 관련 유튜브로 강의가 제공되어서 시간이 날때마다 들었습니다. (이해 안가는 내용에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세번째로, 기출문제를 풉니다. 풀다보면.. 2021. 3. 23.
[스케치업] 한번에 여러개 면의 두께값 주는 루비_Multiple push pull 보통 여러개 면의 두께 값을 주려면 하나씩 클릭해서 Push 를 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 루비는 선택해서 값만 입력하면 한번에 Push 가 됩니다. 한번에 여러개 면의 두께값을 주는 루비에 대해 알아봅시다. " Extension Warehouse " 와 " sketchucation " 사이트에서 해당 루비를 찾아보려 했지만 찾지 못했습니다. 검색하던 중 블로그에서 해당 rb 파일을 발견해서 다운로드 한 후 설치했습니다. 1. 생성된 면에 동일한 두께값을 주려고 합니다. 2. 설치한 루비는 Extension 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두께값을 줄 객체를 선택한 후, Extension 탭에서 설치한 Multiple Push - Pull 을 클릭합니다. 3. 두께값을 입력합니다. 4. 일정한 두께값.. 2021. 3. 21.
[스케치업] 한번에 면 생성 해주는 루비_Make Face (야근줄여주는 루비) 스케치업 작업을 할 때 도면을 불러와서 벽체 올리는 작업을 할 때 면이 생성이 되어있지 않아서 선을 한번씩 그어주거나 해서 면을 채워주게 됩니다. 하지만 스케치업 루비 중에 불러온 선의 면을 한번에 채워주는 루비가 있습니다. 이 루비를 사용하게 되면 작업 시간을 훨씬 줄여줄 것입니다. 1. 불러온 도면의 면이 비워져 있습니다. 한번에 채워보려합니다. 상단 메뉴에 있는 Extension Warehouse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Extension Warehouse 창이 떴으면, Make Face 를 검색합니다. s4u MakeFace 5 를 클릭합니다. 3. Install 을 눌러 설치해줍니다. 4. 설치했는데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다면, View 탭의 Toolbars 를 클릭합니다. 5. Toolbars.. 2021. 3. 21.
반응형